
롱블랙 프렌즈 K
저는 계절이 바뀌는 순간을 좋아해요. 세상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죠. 선선해진 밤공기를 느끼거나, 살짝 바뀌는 사람들의 옷차림을 알아채는 것. 이런 데서 재미를 찾곤 해요.
그러다 생각했어요. “관찰의 재미를 더 키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마침 힌트가 될 책을 만났습니다. 일본의 만화 편집자 사도시마 요헤이佐渡島庸平가 쓴 『관찰력 기르는 법』이었죠.
저자는 일본의 유명 만화 「드래곤 사쿠라」,「배가본드」 등을 편집한 인물이에요. 2002년부터 일본의 3대 만화책 출판사인 고단샤講談社에서 10년간 편집자로 활약했어요. 2012년엔 작가 에이전시인 코르크Cork를 세워, 10년 넘게 창작자 키우는 일에 집중하고 있죠.
그는 만화 작가들과 20년 넘게 일하며 얻은 깨달음을 『관찰력 기르는 법』*으로 정리했어요. “좋은 창작자는 관찰력이 뛰어나다”는 관점을 품고 쓴 책이었죠. 그는 어떤 이야기를 글로 풀어냈을까요?
*원서는 2021년에 출간됐다. 한국에는 2023년에 번역돼 나왔다.
Chapter 1.
좋은 관찰은 세상을 발전시킨다
먼저 저자가 좋은 창작자의 조건으로 ‘관찰력’을 꼽은 이유를 살펴볼까요? 그는 “관찰력이 좋으면 인풋과 아웃풋의 질이 모두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관찰력을 기르면 인풋의 질이 높아진다.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일상적으로 질 높은 정보가 점점 축적된다. 그리고 인풋이 쌓이면 흔히 ‘감성’이라고 하는 것이 몸에 붙는다.
감성이 쌓이면 이번에는 깨닫는 것의 질과 양이 압도적으로 늘어난다. 아웃풋의 질도 아울러 높아진다. 이 궤도에 올라타기만 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일만 남는다.”_50p
저자는 관찰력을 “다양한 능력으로 이어지는 도미노의 첫 블록”이라고 정의했어요. 사실상 관찰력을 기르는 일이 모든 능력과 연결될 수 있다고 주장한 거예요.